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방십자인대파열 증상 뭘까? 치료방법까지 정리

 

무릎 관절 내에는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물이 존재합니다. 그중에는 관절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앞뒤로 빠지지 않도록 잡는 십자인대가 있습니다. 십자인대는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이나 점프 후 착지 과정에서 쉽게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젊은 층에서 십자인대가 파열될 경우 장기적으로 반월상연골파열이나 퇴행성관절염 같은 2차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어 문제가 되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전방십자인대파열 증상과 원인, 치료법에 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십자인대는 무릎의 앞쪽에 위치한 전방 십자인대와 뒤쪽의 후방 십자인대로 나뉘는데요. 전방 십자인대와 후방 십자인대는 서로 교차해서 무릎 관절을 지지하고 안정적으로 움직이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전방 십자인대는 종아리뼈가 앞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무릎에 강한 충격이 있을 때 전방십자인대파열이 생긴다고 생각하지만, 충돌 없이 다리가 과도하게 비틀어지는 부상만으로도 쉽게 파열되는 편입니다. 실제로 접촉성 외상보다 비접촉성 외상에 의한 전방십자인대파열이 전체 파열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부분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과 잘못된 착지, 비틀림, 급격한 감속 등이 원인입니다.

 

 

 

운동선수들에게 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알려졌으나 일반인에게도 흔히 발생합니다. 최근에는 스포츠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직업보다는 활동량이나 운동 자세, 운동 종류 등에 따라 생길 때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축구나 테니스 등에서 갑자기 방향을 전환하거나 농구 등에서 점프 후 잘못 착지하는 등의 무릎이 과도하게 비틀리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여름에는 수상스키, 웨이크보드 같은 격렬한 수상 스포츠가 인기를 끄는데요. 수상스키와 웨이크보드 등의 활동은 빠른 스피드에서 역동적인 움직임을 요구하기 때문에 무릎 관절이 다치기 쉽습니다. 전방 십자인대는 후방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얇기 때문에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전방십자인대파열 증상은 파열되는 순간에 무릎에서 ‘뚝’하는 파열음이 들리고 무릎에 심한 통증이 동반되는 것인데요. 이때 즉시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부기가 빠지고 통증이 가라앉아서 가벼운 염좌로 오인하고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십자인대는 스스로 치유될 수 있는 조직이 아니기 때문에 파열된 상태를 오래 방치하면 무릎 관절의 불안정성을 더욱 심화시키고 장기적으로 무릎 연골 손상과 같은 2차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릎에서 심한 통증이 느껴지고, 무릎이 붓고 관절이 어긋나거나 덜렁거리는 느낌이 든다면 정밀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문진, 이학적 검사, X-ray, MRI 등을 통해 진단 가능합니다. 치료는 십자인대의 파열 정도와 환자의 나이, 활동성, 직업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문진을 통해 이러한 사항을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MRI 검사를 시행합니다. 

 

부분 파열이면서 기능적으로 큰 문제가 없으면 대부분 주사치료와 물리치료, 운동요법 등과 같은 비수술적 방식으로 치료를 진행합니다. 십자인대가 파열되면 모두 수술해야 하는 것으로 잘못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은데, 파열이 경미한 편에 속하고 동반 손상이 없으며 활동성이 적은 나이라면 비수술적 방식으로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수술적 방식으로 치료하는 중에도 통증이 계속 심해지거나 지속되는 경우, 파열의 범위가 큰 경우, 불안정성이 심하거나 동반 손상이 있는 경우, 활동성이 많은 직업이거나 젊은 나이일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인대재건술은 파열된 인대를 제거하고 새로운 인대를 이식하는 수술로 주로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최소한의 절개로 진행됩니다. 모니터를 통해 병변을 확인하면서 1cm 미만으로 절개하여 수술이 진행되어서 통증 및 출혈이 적고 수술 후 빠른 일상 복귀가 가능합니다. 

 

수술 후 무릎이 정상적으로 회복될 때까지 수개월이 소요되는데, 이 기간동안 재활치료를 적극적으로 해야 합니다. 재활이 부족하면 재파열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무릎의 가동성과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꾸준히 병행해야 합니다.